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 고1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의 모든 것 (2023.05 수정)

by 옆집삼촌 2023. 5. 12.
반응형

 

본 포스팅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사항이 새로 확정되어 발표될때마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궁금한점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열심히 찾아서 수정,보완하겠습니다.

 

 

본포스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

- 학년별 이수과목의 특징은 무엇인가

- 과목별로 성적은 어떻게 산출하는가

- 개설되는 과목의 숫자는 일반적으로 얼마나 되는가

- 다양한 선택과목은 어떻게 개설되고, 인원이 부족한 과목이나 우리 학교 이외에서 수업을 들을수는 없는가

- 졸업요건

-여러가지쟁점사항

 

 

 

 

 

고교학점제란?

대한민국 중학교 교육과정을 졸업한 학생이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시행되는 학점제도로서, 학생이 스스로 선택한 진로와 적성에 따라 원하는 과목을 선택적으로 수강하고 일정수준의 학점을 3년간 이수 하였을때, 고등학교를 졸업할수 있는 제도 입니다. 2020년부터 마이스터고, 2022년부터 자사고 일반고 일부(전체의60%)가 연구학교 선도학교 형태로 고교학점제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학년별 이수과목

- 고등학교1학년에는 '공통과목'을 선택하여 같은 학년 모든 학생과 함께 수업을 듣습니다. 1학년때는 고민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 고등학교2학년, 3학년 2년동안 '선택과목'을 수강하게 됩니다. 이때부터 고민이 시작됩니다.

 

성적 산출 방법

- 2023년 현재 결정된 바로는 1학년 '공통과목'은 상대평가를, 2,3학년 '선택과목'은 절대평가를 통해 성적을 산출하게 되어있습니다. 대입에 있어서 고교내신은 약화되며 절대평가의 경우 A,B,C 성취평가제도를 운영할 것으로 보입니다. 

 

 

개설과목

- 교육부에서는 2022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제도를 시행하였는데 이 사례를 보면, 보통 매년 25개 정도의 과목을 학교에서 개설하고, 공통과목을 포함하여 학생들은 3년간 40여개 과목을 선택해서 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택과목 개설방식

- 보통 대부분의 선택과목은 학생이 다니는 학교에서 개설됩니다. 이때 강의가 개설되기 위한 최소 인원을 결정하는 것은 학교의 권한입니다. 하지만 학교의 사정에 따라 생기는 교육기회의 불균형(소인수과목, 희소과목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교육부에서는 학생들이 주변 고등학교와 대학교 또는 전문기관의 연계수업을 통한 오프라인 교육과정과 온라인 교육과정을 함께 제공할 계획입니다. '선택과목'을 이수하지 못할경우 '재수강'을 하면 되지만, '공통과목'을 이수하지 못할 경우에는 '보충이수'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졸업요건

-대한민국 모든 고등학생은 고등학교 졸업을 위해 3년간 총 192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3년내에 졸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 제도는 진단평가나 학습관리와 같은 다양한 도구들을 통해서 학생이 선택과목을 이수하지 못하는 일이 가급적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고, 이런 과정을 통했음에도 학생이 과목의 이수를 실패한 경우, 보충지도 등을 통해서 학생들이 학교의 충분한 도움을 받아서 과목이수를 실패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학생이 원하는 경우 3년간 192학점보다 많은 학점을 이수하고 졸업할수는 있으나, 조기졸업은 불가능합니다. 

 

 

쟁점사항

- 서술형평가는 도입될 것인가

- 각학교마다 내신 문제의 변별력은 어디가까지 인정할 것인가

- 수능이 가지고있던 변별력이 약화되면 시험의 의미와 영향력 그리고 권위는 어떻게 될 것인가

-수학능력시험의 범위는 조정 될 것인가

 

위 사항은 교육부에서 논의중이며 전면도입인 2025년까지 차차 구체적으로 정해질것으로 보입니다.

새로운 발표가 나올때마다 자세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